![](https://static.wixstatic.com/media/a27d24_4f6355dabb6a40d1b8c4069fbff317ad~mv2.png/v1/fill/w_750,h_355,al_c,q_85,enc_auto/a27d24_4f6355dabb6a40d1b8c4069fbff317ad~mv2.png)
김익재 KIST AI·로봇연구소장이 AI기반 얼굴인식 기술을 설명하고 있다.[사진= 라스베이거스 김요셉, 이원희기자]
"한국 기업들이 정말 많이 눈에 띄네요. 한국의 글로벌 시장 진출 노력이 인상적입니다."
"한국 스타트업 테크기업들의 기술 파괴력이 강하게 느껴지네요. K-테크에 반했어요."
5일 오전 10시(현지시각) 미국 라스베이거스 베네시안 엑스포. 세계 최대 IT·전자 박람회 'CES 2022'가 3일간의 일정으로 막을 올렸다. 코로나19로 지난해 100% 온라인으로 진행됐던 CES(Consumer Electronics Show)가 이날 2년만에 다시 방문객을 맞았다. 주관사 CTA 측은 악조건 속에서도 전 세계 1900여개 업체, 최대 7만5000명의 관람객이 참석할 것으로 내다봤다.
전 세계인들을 위한 첨단 하이테크 전시회인 만큼 다양한 국적의 관계자들이 행사장을 찾았다. 오미크론 확산으로 평소 북적였던 관람객 대비 절반 이하 수준에 불과했지만 여전히 현장은 글로벌 테크 동향 파악 열기가 뜨겁다.
특히 기술혁신 경쟁 현장을 둘러본 해외 참가자들은 한국의 스타트업을 치켜세웠다. 한국 기업들의 참여 의지가 어느 때보다 높았던 덕도 있다. 오미크론 확산에 행사가 하루 축소됐지만, 한국 기업은 역대 최다 규모로 출동했다.
CES 현장을 찾는 국내 기업은 416개사로 역대 최대다. 작년 390개 회사가 참여한 기록을 넘어섰다. CES 전체 참여 기업 규모로 따지면 1900개중 20% 비중을 차지한다. 각국 스타트업들이 모이는 '유레카 파크'에는 한국 스타트업 228개사가 참여했다. KAIST와 서울대, POSTECH이 각각 스타트업 군단으로 출사표를 던졌고, 정부출연연구기관 대표격으로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가 출격했다.
(중략)
그런 가운데 정부출연연구기관 중 CES에 참여한 KIST의 기술도 돋보인다. KIST AI·로봇연구소는 마스크를 쓴 상태에서도 얼굴인식이 가능한 기술을 선보였다. 사전에 정보를 등록하면 빠르게 지나가는 화면에서도 대상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최근 코로나19로 마스크를 낀 상태로 다수가 이동하는 상황에서 방역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반려동물의 얼굴까지 인식할 수 있는 기술도 선보였다. 강아지나 고양이들도 각각의 얼굴 형태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AI를 활용해 정확하게 구분해냄으로써 동물병원에서의 정확한 정보활용이 가능하고, 유기 및 실종도 방지할 수 있다.
CES에 참가한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한국의 기업들 전시부스를 돌아보니 예년보다 양적으로는 물론 질적으로도 큰 변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대기업부터 신생 스타트업까지, 자동차부터 바이오헬스에 이르기까지 분야별 다양한 기업의 참여를 확인했다. 대한민국 혁신의 진면목이 이곳에서 보니 정확히 보이는 것 같다"고 참관 소감을 밝혔다.
박승일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는 "정보 기술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이라는 우리나라 스타트업의 역동성을 실감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김윤기 와이드앤파트너스 대표는 "이종기술간 융합산업 스타트업이 많이 보이고, 삶의 질을 높여주는 서비스와 제품을 개발하는 스타트업들이 많았다. 국내외 기업과 투자자들의 관심이 더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평했다.
원문보기 :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html?idxno=95537
출처 : 헬로디디(http://www.hellodd.com) / 미국 라스베이거스= 김요셉·이원희 기자 sseph0316@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