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75bc2cb8d18a4f00b3b26074cd3d45fc~mv2.jpg/v1/fill/w_980,h_735,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75bc2cb8d18a4f00b3b26074cd3d45fc~mv2.jpg)
국내 최대 규모의 로봇 행사 ‘2023 로보월드(ROBOT WORLD)’가 고양 킨텍스에서 11일 막을 올렸다.
14일까지 열리는 로보월드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방문규)가 주최하고 한국로봇산업협회와 한국로봇산업진흥원, 제어로봇시스템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행사다. 올해로 18번째를 맞이해 역대 최다 부스 및 다양한 로봇을 선보였다.
올해의 키워드는 서비스형 로봇, 협동 로봇, 물류로봇, 휴머노이드 등이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4e51cfce1ea544e99debf376e199220a~mv2.jpg/v1/fill/w_980,h_735,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4e51cfce1ea544e99debf376e199220a~mv2.jpg)
먼저 물류로봇은 압도적인 사이즈를 자랑했다. 유진로봇(대표 박성주)은 자율주행 물류로봇 시리즈 '고카트(GoCart)' 중에서 적재중량 500kg을 감당하는 ‘고카트500’을 선보였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d7719f3ce4a34e578e9d727fbf6694f0~mv2.jpg/v1/fill/w_980,h_737,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d7719f3ce4a34e578e9d727fbf6694f0~mv2.jpg)
물류 운반에는 자율주행이 화두였다. CES에서 로봇 혁신상을 받은 힐스로보틱스(대표 박명규)는 카메라, 라이다(LiDar) 등을 이용한 자율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물류는 물론 안내, 서비스 등 다분야에 이용 가능한 서비스다. 강화학습을 거쳐 향후 발전한 인공지능(AI) 기술을 선보이겠다고 예고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4be7812894f34e22ac0ddfb97090a3b3~mv2.jpg/v1/fill/w_980,h_1249,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4be7812894f34e22ac0ddfb97090a3b3~mv2.jpg)
대형언어모델(LLM)을 접목한 서비스 로봇도 강세였다. 주식회사 아이지(대표 김창일)는 부스 입구에 휴머노이드형 안내 로봇을 설치했다. '챗GPT'를 접목해 관람객들에게 설명을 제공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f04c94e45c18457fbc439986d5b23d37~mv2.jpg/v1/fill/w_980,h_735,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f04c94e45c18457fbc439986d5b23d37~mv2.jpg)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보케어(대표 문전일)는 '보미(BOMI)'를 시연했다. 치매 위험이 있는 노인은 물론 아이들을 위해 ‘두뇌 향상 게임 콘텐츠’도 탑재한 '인지 돌봄이 로봇'이라는 설명이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f00cf4e4c9ee475387d13b97e3948371~mv2.jpg/v1/fill/w_980,h_735,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f00cf4e4c9ee475387d13b97e3948371~mv2.jpg)
트위니(대표 천홍석, 천영석)는 백화점 등 넓은 실내에 특화한 서비스 로봇 ‘나르고’를 소개했다. 기존에는 고객이 직접 키오스크 등을 참고해 길을 찾아야 했지만, 나르고는 직접 길을 안내해 준다. LLM까지 접목해 “앉아서 쉴 수 있는 곳에 가고 싶다”라는 일상적 언어도 인식 가능하다. 로봇 본체에 짐을 올려두는 공간도 마련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723e6640eacb422d82340d5ee60273b3~mv2.jpg/v1/fill/w_980,h_733,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723e6640eacb422d82340d5ee60273b3~mv2.jpg)
사람을 보조하는 ‘협동로봇’도 빠질 수 없었다. 특히 뉴로메카(대표 박종훈)는 소중량부터 고중량까지 다양한 협동형 산업로봇을 시연해 눈길을 끌었다. 라이다(LiDar) 기술을 활용해 사람이 근접하면 로봇의 모션 속도를 자동 감소시키는 등 안전성도 확보했다. 그중 ‘아이콘3’ 모델은 진화한 충돌 감지 알고리즘을 보유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fbe1cc71cf3d490783e3dd7375cf148f~mv2.jpg/v1/fill/w_980,h_734,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fbe1cc71cf3d490783e3dd7375cf148f~mv2.jpg)
세이프틱스(대표 신헌섭)는 AI 기반 로봇 충돌 안전 분석 솔루션인 '세이프티디자이너'에 초점을 맞췄다. 협동로봇의 안전성을 입증하려는 기업에 ‘로봇 안전성 시뮬레이션 솔루션’을 제공한다. 웹사이트에 접속해 이용 가능한 방식으로, 현존하는 다양한 협동로봇 모델을 즉시 업로드할 수 있다.
특히 시뮬레이션 결과 분석에 AI를 접목, 협동로봇이 작업 중 사람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시험해 주고, 위험도를 낮추는 해결책도 제시해 준다. 이 솔루션으로 안전성을 검증한 경우, 협동로봇 주위의 펜스 설치 비용까지 절감할 수 있어 효과적이라고 강조했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c6416d5b76f943c8a6edd9403ead8686~mv2.jpg/v1/fill/w_980,h_733,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c6416d5b76f943c8a6edd9403ead8686~mv2.jpg)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대표 윤석진)은 사람과 AI 로봇이 공존하는 ‘미래형 카페’를 시연했다. 디지털 휴먼이 주문을 받고 협동형 바리스타 로봇이 음료를 제작, 휴머노이드로봇과 배달로봇이 운반을 담당한다. 더불어 로봇이 자동적으로 노래를 재생하는 등 그야말로 ‘로봇 서비스의 집합체’를 선보였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43272d4ced7c43159dec267c61b36ea5~mv2.jpg/v1/fill/w_980,h_1245,al_c,q_85,usm_0.66_1.00_0.01,enc_auto/c7afae_43272d4ced7c43159dec267c61b36ea5~mv2.jpg)
에이로봇(대표 엄윤설)을 통해 로봇 산업의 트렌드 및 미래도 예측해 볼 수 있었다. 에이로봇은 휴머노이드 연구소를 기반으로 탄생한 기업이다. 서비스형 로봇의 최종 단계는 ‘휴머노이드’임을 강조, 하이퍼클로바X, 챗GPT 등 다수 LLM을 접목해 최종 단계인 ‘AI 에이전트’까지 나아간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진정한 AI 비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AI만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하드웨어와 접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이번 로보월드가 ‘미래 기술의 완전체’에 가까운 이유이기도 하다.
![](https://static.wixstatic.com/media/c7afae_fa204f7d86654a74b86903db5d5de38f~mv2.gif/v1/fill/w_639,h_479,al_c,pstr/c7afae_fa204f7d86654a74b86903db5d5de38f~mv2.gif)
이 외에도 레인보우로보틱스 등 다수 기업은 유연한 동작을 선보이는 ‘사족보행 로봇’을 전시장 곳곳에서 시연하는 등 관람객에게 쉴틈 없이 흥미를 제공했다.
이처럼 이번 행사는 어떤 전시회보다 풍성한 볼거리가 돋보였다.
출처 : '하드웨어로 펼치는 AI의 미래'...로보월드, 킨텍스서 개막 < 이벤트 < 기사본문 - AI타임스 (aitimes.com)
AI타임즈, 장세민 기자 semim99@aitimes.com